환절기가 다가오면 독감(인플루엔자)에 대한 걱정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특히 영유아와 어린이는 고열과 합병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제때 접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영유아를 위한 독감 예방접종 시기, 백신 종류별 특징과 주의사항, 접종 전후 체크리스트, 비용 및 접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시기
2025-2026 절기 접종 시기
국가에서 무료로 접종하는 대상은 생후 6개월에서 13세 어린이(2012.1.1.~2025.8.31. 출생),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입니다.
– 지원 기간
– 2회 접종 대상 어린이: 2025년 9월 22일(월) 시작
– 1회 접종 대상 어린이 및 임신부: 2025년 9월 29일(월) 시작
– 종료일: 2026년 4월 30일(목)
몇 회 맞아야 하나요?
초기 접종을 받는 만 9세 미만의 어린이는 4주 간격으로 2회를 맞아야 하며, 그 외 어린이는 매년 1회 접종을 권장합니다. 두 번 맞아야 하는 아이는 9월 말에서 10월 초에 1차 접종을 하고, 11월 전까지 2차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신 종류 및 특징
올해 백신의 변화
2025–26 절기에는 국가예방접종(NIP) 백신이 ‘4가’에서 ‘3가’로 전환됩니다. WHO의 권고에 따라 A/H1N1, A/H3N2, B(Victoria)로 구성되며, 효능과 안전성은 기존 4가 백신과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종류별 백신 특징 및 주의사항
| 구분 | 대상/투여 | 장점 | 주의사항 |
|---|---|---|---|
| 불활성화 주사백신 (IIV, 3가) | 생후 6개월 이상 | 가장 널리 사용됨 | 계란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시스 병력은 의사 상담 필요 |
| 불활성화 주사백신 (세포배양) | 생후 6개월 이상 | 계란 성분 노출 없음 | 의료기관 보유 여부 사전 확인 필요 |
| 비강 분무 생백신 (LAIV) | 만 2–49세 | 접종 편리성 | NIP 미포함, 만 2세 미만 및 천식 환자는 의사 상담 필수 |
접종 전 체크리스트
접종 전에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1. 건강 상태: 발열(38℃ 이상)이나 급성 중증 질환이 있을 경우 연기해야 합니다.
2. 과민반응 병력: 이전의 독감 백신, 계란, 약물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여부를 정확히 기입해야 합니다.
3. 복용 중인 약: 항응고제나 면역억제제 등의 복용 시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4. 필요 서류: 아이의 신분 확인서류, 예진표, 과거 접종 기록이 필요합니다.
접종 후 주의사항
접종 후 24-48시간 동안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흔한 반응: 접종 부위 통증, 미열, 피로감은 1-2일 내 호전됩니다.
– 관리 방법: 미열은 미온수 마사지와 충분한 수분 섭취로 관리하며, 필요시 의사와 상담 후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즉시 진료가 필요한 경우: 호흡곤란, 전신 발진, 심한 알레르기 증상, 고열 지속 등이 나타나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비용 및 접수 방법
비용
국가 무료접종(NIP) 대상 어린이는 전액 무료이며, 유료 접종은 병원에 따라 약 1.2만 원에서 5만 원으로 다양합니다. 브랜드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접수 방법
예방접종도우미를 통해 주변 지정의료기관을 검색하고, 아이의 접종 이력 조회 및 증명서 발급, 예진표 및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방문 전에는 반드시 백신 종류와 물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어디서 진행하나요?
위탁의료기관(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등) 또는 보건소에서 접종이 가능합니다. 2025–26 절기 어린이 무료접종 지정기관 현황 및 지원 기간은 KDCA 안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6개월 미만 아기는 어떻게 하나요?
접종 대상이 아니며, 보호자와 형제자매의 접종과 위생 수칙이 중요합니다.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접종이 가능한가요?
대부분 접종이 가능하지만, 중증 아나필락시스 병력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해야 합니다. 세포배양 백신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비강 분무 백신은 어떻게 하나요?
국내에서는 유료 선택 옵션이며, 만 2세 미만이나 특정 질환을 가진 경우 제한될 수 있으니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영유아와 어린이의 독감 예방은 접종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첫 접종의 2회 일정(4주 간격)을 꼭 지키고, 올해 3가 백신으로의 전환이라는 변화를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도우미를 통해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을 확인하고 예약을 마치면 한결 수월하게 접종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TV 홈쇼핑 방송 상품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