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를 읽어보시면 하우스 설치의 핵심 절차와 선택 포인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준비 단계부터 시공 후 관리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요점을 정리했습니다.
설치 전 기본 조건 점검
- 경지정리와 전기인입 준비
- 설치 전 토지 정리 상태를 확인하고, 전력 공급이 원활한지 점검합니다.
- 시공용 출입로와 도로 접근성, 3.5톤급 차량의 진입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
- 주변 배수로와 토양 안정성도 함께 검토해 설치 후 변형을 최소화합니다.
- 현장 여건 확인 및 시공 거리 계획
- 시공 가능 거리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니 현장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작업 구역을 확정합니다.
- 현장 진입로의 폭, 지형 변화, 건축물 간 거리 등을 기록해 설계에 반영합니다.
설계·사이즈 결정과 자재 선택
- 폭/길이/어깨높이 결정의 기준
- 일반적으로 폭은 4~8m, 길이는 5~100m 범위에서 선택합니다.
- 어깨높이는 1.9m, 2.3m, 3.0m 등의 단위로 결정하며, 용마루 높이는 어깨높이에 비례해 올라갑니다.
- 동고/측고의 개념과 시공 영향
- 측고는 하우스 양쪽 가장자리의 높이를 뜻하고, 동고는 중앙부의 최고 높이를 말합니다.
- 폭이 넓어질수록 동고높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통풍과 자재 비용에 영향을 줍니다.
- 예를 들어 폭 5m일 때 동고 3.3m, 폭 8m일 때 동고 3.9m처럼 수치를 참고해 설계합니다.
시공 가능 지역과 일정 계획
- 지역별 제약 및 거리 변수 확인
- 시공 가능 거리는 제조사 운영 범위나 현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충청권과 인접 지역처럼 비교적 접근성 좋은 구역에서 우선 계획을 세우되, 멀리 떨어진 곳은 현장 점검이 선행됩니다.
- 현장 도면 확인과 작업 순서 정리
- 현장 측정 도면을 바탕으로 부재 길이와 설치 위치를 재확인합니다.
- 안전한 작업 흐름을 위해 출고~하차, 레일링, 고정 순서를 미리 점검하고 기록합니다.
견적요청 및 의사소통 방법
- 필요 정보 목록(장비/차량 사이즈, 환풍기/처마/창문 등)
- 사용 용도와 경지 크기를 기준으로 사이즈와 피복자재를 선정합니다.
- 입구를 지나는 장비나 차량의 규모를 알려주고, 필요 시 환풍기나 처마, 창문 같은 부가 옵션을 명시합니다.
- 그림/메모 첨부와 상담 절차
- 간단한 도면이나 손그림, 문자 메모로도 초기 상담이 가능합니다.
- 상담 시점에 예상되는 작업 흐름과 필요한 자재를 함께 공유하면 견적이 더 정확해집니다.
시공 후 관리와 폐기물 처리
- 피복자재 관리 및 교체 주기
- 피복자재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손상 부위는 즉시 보수합니다.
- 내구성에 따라 교체 주기를 계획해 실효성을 높입니다.
- 폐기물 수거 및 처리 방법
-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포장재, 금속 파손부 등을 규정에 맞게 수거·처리합니다.
- 재활용 가능한 자재는 분리 보관하고 현장 청결을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