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서울시는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총 69,900개의 일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어르신들은 자치구별로 지정된 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방법과 사업 유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서울시 어르신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개요
사업 참여자 모집 일정
2023년 어르신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자 모집은 12월 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진행되며, 각 자치구의 시니어클럽,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등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가능한 어르신의 조건
신청은 만 60세 이상 어르신이 가능하며, 각 사업유형에 따라 세부 조건이 다릅니다.
어르신 일자리 유형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이 일자리는 월 60시간 근무하며, 최대 71만원의 급여를 지급받습니다. 주로 돌봄 및 복지시설에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시장형 일자리
2023년에는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시장형 일자리가 늘어났습니다. 카페 운영, 소규모 제조업, 그리고 지하철 택배 등의 직종이 포함됩니다. 만 60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공익활동형 일자리
이 유형에서는 노노케어, 취약계층 지원, 공공시설 봉사 등의 활동을 하게 되며, 월 30시간 근무하고 27만원의 활동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취업알선형 일자리
민간 일자리 취업을 원하시는 어르신들을 위해 취업 알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만 60세 이상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치구별 참여자 모집 일정
자치구 | 모집 일정 |
---|---|
종로구 | 12월 5일 ~ 13일 / 19일 ~ 23일 |
중구 | 12월 12일 ~ 23일 |
용산구 | 12월 12일 ~ 28일 |
성동구 | 12월 8일 ~ 21일 |
광진구 | 12월 12일 ~ 23일 |
동대문구 | 12월 5일 ~ 16일 |
중랑구 | 12월 5일 ~ 16일 |
성북구 | 12월 12일 ~ 23일 |
강북구 | 12월 12일 ~ 23일 |
도봉구 | 12월 5일 ~ 16일 |
노원구 | 12월 1일 ~ 14일 |
은평구 | 12월 5일 ~ 16일 |
서대문구 | 12월 5일 ~ 23일 |
마포구 | 12월 15일 ~ 21일 |
양천구 | 12월 5일 ~ 16일 |
강서구 | 12월 5일 ~ 23일 |
구로구 | 12월 5일 ~ 16일 |
금천구 | 12월 12일 ~ 28일 |
영등포구 | 12월 5일 ~ 28일 |
동작구 | 12월 12일 ~ 28일 |
관악구 | 12월 5일 ~ 16일 |
서초구 | 12월 5일 ~ 23일 |
강남구 | 12월 5일 ~ 23일 |
송파구 | 12월 5일 ~ 23일 |
강동구 | 12월 12일 ~ 28일 |
일자리를 구하는 어르신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자치구의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서울시 어르신일자리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은 각 자치구의 시니어클럽,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등에서 가능합니다.
신청 자격이 어떻게 되나요?
만 60세 이상의 어르신이 신청할 수 있으며, 사업 유형에 따라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직종에서 일할 수 있나요?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공익활동형 등 다양한 직종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사회서비스형의 경우 최대 71만원, 공익활동형은 27만원의 활동비를 지급받습니다.
모집 기간은 언제까지인가요?
2023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은 12월 5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