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지역별 김장 김치 특징 및 종류



Title: 지역별 김장 김치 특징 및 종류

반응형이제는 벌써 11월 말이 되어 김장김치를 담그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슈퍼와 마트에서 절임 배추를 파는 것을 보니 더욱더 실감이 납니다. 거기에 배추 20포기의 김장비용은 11월 10일 기준으로 지난해 보다 9% 낮아지고, 생산량이 10% 늘면서 김장에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이렇게 활기를 띠고 있는 김장 김치의 지역별 종류와 시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서울출처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093(총각김치)- 특징한 나라의 수도 역할을 오랜 세월 해온 서울 지역은 주로 궁중에서 먹던 김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김치가 화려한 특징이 있습니다. 한 나라의 수도답게 전국에서 모여드는 농산물들로 인해 재료와 김치의 가짓수가 매우 다양합니다. 맛은 다소 심심한 듯 하지만 무난한 맛이 특징입니다.또한 간은 짜거나 싱겁지 않으며 맵지 않은 중간 정도이며 양념들이 잘게 다져서 보기에도 깔끔합니다. 사용하는 젓갈로는 새우젓, 황석어젓, 생새우, 생갈치를 넣습니다.- 대표 김치깍두기, 오이김치, 총각김치, 동치미, 배추김치 등이 있습니다.2. 경기도출처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4834(개성보쌈김치)- 특징북부와 남부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경기도는 서울과 마찬가지로 싱겁지도 짜지도 않게 간을 합니다. 또한 서해안의 해산물과 동쪽 산간 지역의 산채, 곡식 등이 어우러져서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사용하는 젓갈로는 서울과 똑같고 담백한 젓국을 즐겨 씁니다.- 대표 김치백김치, 고구마줄기김치, 오이소박이, 순무김치, 개성보쌈김치 등이 있습니다.3. 강원도출처 https://www.asiae.co.kr/article/2016010816151224367(더덕김치)- 특징강원도는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으로 나누어져 각각의 환경과 기후에 따라 김치의 특징이 다릅니다.영동 지방에서는 배추와 무를 기본 재료로 사용하며 말린 생태나 생오징어를 잘게 썰어 넣어 양념소를 만듭니다. 간을 내기 위해 새우젓, 멸치젓을 섞은 국물에 절인 배추를 적셔 소를 넣거나 생태 머리와 뼈, 창난젓 등을 넣어 간을 냅니다.영서 지방에서는 국물을 넉넉하게 붓고 김치에 갓을 많이 넣어 칼칼한 맛을 냅니다. 또한 영동 지방과는 다르게 젓갈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 간을 싱겁게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표 김치더덕김치, 산갓김치, 오징어김치, 해물김치, 콩나물김치 등이 있습니다.4. 충청도출처 https://park.org/Cdrom/Pavilions/Kimchi/10108.html(나박김치)- 특징충남 지역의 해산물, 충북 지역의 채소를 함께 사용하여 소박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젓갈은 많이 쓰지 않고 소금을 사용하여 맛이 담백하고 깔끔합니다. 젓갈은 조기젓, 황석어젓, 새우젓을 많이 사용하고 양념을 적게 씁니다. 그렇기에 간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은 정도로 적당합니다. 또한 배추와 무를 통으로 담그는 짠지의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부가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는 미나리, 파, 삭힌 풋고추 등을 넣거나 표고버섯을 채 썰어 배와 밤을 섞어 담그기도 합니다.- 대표 김치호박김치, 가지김치, 굴깍두기, 나박김치, 공주깍두기 등이 있습니다.5. 경상도출처 http://news.imaeil.com/page/view/2018121018252663819(콩잎김치)- 특징생강은 많이 사용하지 않는 반면 마늘과 고춧가루를 많이 사용하여 맛이 맵고 얼얼합니다. 또한 소금과 젓갈을 많이 넣어 간을 짜게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금과 젓갈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경상도 지역이 기온이 따뜻하여 김치가 쉽게 익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젓갈은 멸치젓을 달여 국물만 사용하고 갈치 속젓을 넣어 맛을 냅니다.- 대표 김치통대구소박이, 부추김치, 콩잎김치, 우엉김치, 고들빼기김치 등이 있습니다.6. 전라도출처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418(깻잎김치)- 특징풍부한 해산물과 여러 가지 채소, 산나물이 생산되어 김치의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전라도 지역의 날씨는 따뜻하기 때문에 김치가 쉽게 시어질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추와 젓갈을 많이 넣습니다. 그렇기에 매운맛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고추를 불려 돌확에 갈아 이것에 젓갈을 섞어 만들기 때문에 칼칼한 맛이 납니다.젓갈은 멸치젓을 가장 많이 써서 깊은 맛을 내고 조기젓이나 새우젓도 많이 사용합니다. 또한 부가적인 재료로 참쌀풀을 쑤거나 여러 가지 채소를 넣어 시원한 맛을 냅니다.- 대표 김치나주동치미, 깻잎김치, 파래김치, 갓김치, 어리김치 등이 있습니다.7. 제주도출처 http://www.lampcook.com/food/food_local_view.php?idx_no=685(꽃대김치)- 특징제주도는 섬이기에 식재료가 귀해 재료와 양념을 적게 사용합니다. 그렇기에 김치의 종류가 많지 않고 대신에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한겨울에도 날씨가 따뜻하여 싱싱한 채소를 언제든지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김장을 많이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해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전복을 비롯한 해산물을 넣으며, 한겨울에도 잘 자라는 배추의 줄기나 꽃봉오리로 김치를 담그는 동지 김치가 발달해있습니다.- 대표 김치톳김치, 귤김치, 꽃대김치, 전복김치,  청각김치 등이 있습니다.이렇게 지역별 다양한 김치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각 지역별로 기후 특성에 따라 사용하는 젓갈과 재료들이 다르다는 점과 맛도 천차만별임을 글을 작성하며 알게 되었습니다. 알아본 정보를 토대로 올해 김장철에는 다른 지역의 김치를 담그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반응형공유하기게시글 관리삐뚜뽕의 잡화점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각종 정보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드라마 슈룹, 자식에 대한 중전의 사랑(0)2022.12.17드라마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 줄거리,등장인물 등(0)2022.12.10

이전 글: 혼자가 아닌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스마트한 방법